윤석열 탄핵 반대를 외치는 분들이 있습니다. 불안한거죠 탄핵되면 큰일이라고 생각하고 공산화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아니라고 말해줘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죠 전원일치로 헌재에서 대통령 파면이 될것이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재판을 하면 할수록 위법이 더 분명해지기 때문에 법관 입장에서는 기각을 할수가 없을 정도로 증거가 많기 때문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그로 인한 내란 혐의 체포와 탄핵 가능성 등으로 노인들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1. 극우/극좌 세력의 사회적 영향력
건강한 보수와 진보는 사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극우와 극좌 세력은 사회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이들은 마치 라면과 같이 건강에는 해롭지만, 가성비와 맛 때문에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2. 윤석열 대통령의 위기
윤석열 대통령은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헌정 사상 초유의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를 불법적으로 막으려한 내란 혐의로 체포 되었습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탄핵될 가능성을 높이며, 2025년 3월 중 파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민주주의의 힘
이번 사태를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강력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친위 쿠데타 시도는 실패했으며, 비상계엄이 전쟁 상황이 아니면 발동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4. 윤석열 대통령의 몰락
윤석열 대통령은 마치 교회 목사의 위임 실패 사례처럼 스스로 무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란죄 체포영장 발부와 구속은 그의 정치 생명을 단축시킬 것이며, 2025년 3월 중 파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뉴라이트 세력의 몰락
윤석열 대통령의 몰락은 뉴라이트 세력의 몰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다음 정권에서는 뉴라이트 세력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하며,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요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6. 희망의 근거
이번 사태를 통해 민주 시민, 국회, 군인들의 상식이 통하는 사회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음모가 통하지 않는 건강한 사회라는 희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결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는 한국 사회에 큰 혼란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민주주의의 힘과 사회의 건강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다음 정권의 정책 방향에 따라 한국 사회는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차 헌재 심의 / 파렴치한 윤석열 변호인과 윤석열의 헌재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변호 포기다 (0) | 2025.02.13 |
---|---|
윤석열 파면이 기정 사실화 되면서 국민의 힘은 대선을 이기겠다는 꿈을 꾸는 것 같다. (0) | 2025.02.13 |
탄핵 반대와 탄핵 찬성 그리고 반 기독교와 친 기독교 (3) | 2025.02.12 |
123 비상계엄, 생중계되는 국회 난입과 특전사령관의 증언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의 핵심 쟁점 (0) | 2025.02.08 |
뉴스가 왜 이렇게 편파적일까?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