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rch

누가 우리교회를 3류교회라고 했다고 누구야

야야곰 2025. 2. 9. 06:54
반응형

 오늘 교회 직원 하나가 갑자기 찾아와 앞뒤도 없이 다른 교회 사람들이 우리 교회를 3류 교회 되었다고 말한다고 씩씩 거린다. 뭔 소리냐! 우리 교회가 왜 3류 교회냐! 말이 너무 심한 것 아니냐! 누가 그러냐! 하니 다 그런단다.

"다" 라면 표현했다면 그냥 1번이나 2번 들었다는 말이 된다. 그냥 몇 명이 비아냥한 것이다. 그리고 그걸 일반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하는 말일 것이다. 

 그러면서 분했다. 우리 교회를 3류 교회라고 한 사람이  뭔 교회 평가자격이 있는 것도 아니고 신경 쓰지 말라고 했지만 내심 충격적이었다.

 자세히 들어보니 새로운 담임목사 부임하더니 3류가 되었다고 말한다고 한다.  아니 그건 또 뭔 소리냐! 하니 모른단다. 들은 이야기를 다 말할 수 없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럴 리가 없다. 내가 알기로는 젊은 분 오셨다고 좋아하는 분도 많고 유튜브에서 예배 참여하다 이 교회로 옮겨온 사람도 많다고 말해주었다. 

도대체 그 평가의 기준이 뭘까 
 일반적으로 우리는 3류 교회 평가는  덩치가 크고 시설이 좋은 교회라 해도 명성이 있고 유명한 목사님이 담임을 한다 해도 그 격에 맞는 기대하는 수준 이하의 행동을 하거나 실수를 하면 3류 교회라고 부른다.

 이건 사람을 3류라고 비아냥하는 것과 같다. 겉모습이 아무리 화려하고 멋져도 속 사람이 형편없는 인격이거나 무식하거나 언행에 문제가 많으면 3류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명성을 유지한다는 것이 매우 힘든 일이다 보니 기대치에 대한 수준을 말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기대에 부합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기 개념이라고 보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라도 1류에서 3류로 평가받기도 하고 바로 회복되기도 한다. 그만큼 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말이다. 그러니 진짜 처음부터 3류가 아니라면 이런 말은 무시해도 된다.  

하지만 항상 겸손하게 자신을 돌아보는 것처럼 교회도 항상 겸손하게 돌아보고 검토하고 정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에  3류 교회의 특징은 정리해 보았다. 교회에 문제가 없는지 한번 점검해 보기 바란다. 3개 이상이면 3류다 아니다. 1개라도 있으면 3류 교회다. 

 아래가 너무 복잡하다면 간단한 방법이 있다.
교회에 사랑이 있나, 은헤가 있나 예수님의 십자가를 항상 생각하나 정도로 변경해도 된다.
교회에 사랑이 있나 하면 다 있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사랑은 제일 낮은자에게도 정중하고 예의 바르고 진심으로 다하냐로 평가하면 된다.
은혜 또한 복 받는 것을 이야기 하는게 아니고 잘됨을 이야기 하는게 아니다. 가장 고통 받고 힘든 교인이 은혜로 산다는 고백이 있냐는 말이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얼마나 겸손한가로 보면 된다. 교만한 자가 하나도 없을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직분자 이상의 사람들이 교만하지 않기를 바란다. 


3류 교회의 특징 

1, 교리적 문제 : 정통 교리를 벗어나거나 성경의 가르침과 다른 주장을 하는 경우 또는 교리적 미비로 교리 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거나, 교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2. 운영상의 문제 :  교회 재정을 투명하게 관리하지 않고, 목회자의 사리사육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와 목회자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교회 운영이 이루어지거나, 교인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 그리고 교회 내부의 갈등과 분쟁이 끊이지 않고, 교인들이 서로 하합 하지 못하는 경우 

3. 윤리적 문제 : 목회자의 성범죄나 불륜 등 성 윤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와  교회나 목회자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행위를 하는 경우

4. 성장 정체 : 교인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새로운 교인이 유입 지지 않는 경우와 교횐들의 신앙이 성장하지 못하고 영적으로 침체되는 경우

5. 사회적 영향력 미비 :  지녁 사회에 대한 봉사나 기여가 부족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와 사회적으로 교회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 

※ 주의 사항 :  3류 교회라는 용어는 다소 비판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 교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기보다는 건강한 교회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노력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