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ffice

일을 지시해 놓고 상사가 직접 확인하지 않고 다른 직원에게 확인을 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by 야야곰 2025. 2. 7.
반응형

일을 지시해 놓고 상사가 직접 확인하지 않고 다른 직원에게 확인을 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이를 통해 업무가 진행되는 경우, 관련된 모든 직원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1. 책임 소재의 모호함
상사가 직접 확인하지 않으면, 업무에 대한 최종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불분명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을 전가하거나, 해결이 지연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직원 간의 불필요한 긴장
한 직원이 다른 직원의 업무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은 두 사람 사이에 불필요한 긴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확인을 받는 직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받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업무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3. 비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
중간에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되면, 업무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전체 팀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스트레스와 소진
확인을 담당하는 직원은 추가적인 업무 부담과 책임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직무 소진(burnout)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직원의 이직률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사가 직접 업무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팀 내에서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정립하고, 직원들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나 같은 경우 경력직에게 확인하는 작업을 생략한다. 당연히 잘해 놓는 경우가 90%가 넘고 혹 실수를 하더라고 그것이 아주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중요한 일이었다면 그 일은 남에게 절대 안 맡긴다. 실수를 해도 될만한 일만 부하직원에게 부탁을 한다.

다 내 마음 같게 일해주는 직원은 한평생 본 적이 없다. 그렇게 뛰어났으면 내 밑에서 일 안 한다. 모자라니까 내 밑에 있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난 그 정도의 도움도 만족한다.

그리고 그들의 실수는 나의 잘못이기 때문이다. 정확한 의도를 알려주지 않고 내가 원하는 것을 완벽하게 할 수 없으니 그의 실수는 내 탓이다.

내 설명이 부족했거나 내가 낮아져서 그의 눈높이로 지시하지 않아서였다. 그리고  지시 후 불안해서 보고 안 하나 기다리지 않는다.

왜냐하면 난 20대부터 완벽주의를 버리려고 노력했고 남에게 일을 맡기고 불안해하는 속 좁은 나를 계속 못 마땅했기 때문이다.

일을 맡겼으면 잘하던 못하던 믿어주고 혹시 미흡한 부분이 보이면 몰래 도와서 제대로 되게 해 놓는다.

그렇게 해서 스스로 잘하는 직원이 되면 지시하지 않아도 잘한다. 지시가 분명하고 합리적이라면 일을 못하는 사람은 없다.

지시가 불분명하고 합리적이지 않고 자세히도 모르고 평가만 한다면 그건 리더십이 없는 한심 그 자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