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과 교회(기독교연구소)

태풍 볼라벤 유리에 테이프붙여야 하나 기도해야하나

by 야야곰 2012. 8. 27.
반응형

태풍 볼라벤 유리에 테이프 붙여야 하나 기도해야 하나 고민 중이다.

 초속 30m까지만 견딜수 있는 유리 테이핑 작업을 해야 하나 싶은 거다. 

 내륙은 초속 30m정도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신문지보다는 테이프를 붙이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X와 † 로 붙이는 것에 좀 더 강화하기 위해 여러 번 빈틈을 따라 붙여주는 것도 효과가 있어 보인다.  이것도 사실은 유리 파손을 막는것 보다는 파손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다는 생각으로 꼼꼼하게 붙여야 한다. 

 유리파손을 예방한다는 생각이 아니라 만약 파손이 일어났을 때 2차 사고를 막겠다는 의지가 필요한데 방송은 테 이프타 신문 붙이면 유리 안 깨진다고  안일한 태도로 방송을 하고 있다. 

 


 사실 신문지에 물 뿌리는게 좀 더 잘 견디다고 하지만 그것도 40m 이상은 불가능하다는 것과  약점이 문제가 된다. . 붙여 놓고 물  마르면 안 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물 공급을 해야 하는 거다.

 이번처럼 태풍의 속도가 느려서 서너 시간을 견뎌야 한다면 신문지에 물공급을 위해 분무작업을 하다가는 강풍에 유리가 파손될 순간이 아니길 기도해야 할 상황이다. 신문지 붙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tv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신문지 대고 분무기로 뿌리는 게 아니라 먼저 창문에 물을 뿌린 후 신문을 붙인 후 분무기로 뿌려야 한다. 

 오늘 아침 아내가 신문지 붙인다고 하면서 tv에서 본 것처럼 하는 거다.  답답해 죽는 줄 알았다. 출근 준비하고 나가야 하는데 말이다. 

이럴 때는 그냥 박스테이프를 더 사 와서 여러 번 많이 붙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노인들만 사는 집은 이걸 어떻게 설치할 수 있을까 걱정이다

  지난 2010년 곤파스 때 우리 아파트는 1층 한집만 유리가 깨졌다.
그럼 왜 1층만 깨졌을까 좀 이상했다. 이 글을 쓰는 순간 깨달았다. 여러분도 아시겠죠?

범인은 부러진 나무 가지의 비행일 거라는 추측이다. 그날 온통 가로수와 아파트 단지 안의 나뭇가지가 부러졌었다

물론 진동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면 버틸 수 있는 창문은 없을 거다

그러니 사람의 노력에 한계가 있다면 신께 의지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거다

스마트폰 시대이고 과학적 사고가 지배하는 인류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걸 느낄 때가 자연 앞에서 무력함을 느낄 때인 것 같다.

물론 유리에 테이핑하고 기도까지 하는 철저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아무것도 안 하고 자신만만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둘다를 선택할 할 것인가? 한 가지만 할 것인가?

선택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데 말이다 태풍 때문에 며칠 전부터 계속 정신을 이쪽으로 몰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건 뭘까? 

 

이미 출근해서 직장에 있다면 뉴스를 듣고 싶다면 YTN 뉴스를 시청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http://hd.ytn.co.kr/

 

 

* 서울에 도착하기 전 태풍 볼라벤은 사라져 버렸다. 바람도 비도 그냥 흐린 날씨 수준으로 서울을 지나갔다. 남쪽은 기도 안 했나 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