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생각/직장 이야기

유능한 팀장이 되고 싶겠지만, 팀장을 좋아하는 직원은 많지 않다.

야야곰 2025. 4. 26. 09:13
반응형

 

 

유능한 팀장이 되고 싶겠지만, 팀장을 좋아하는 직원은 많지 않다.

 팀장이나 조직을 이끄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존경받는 멋진 상사가 되겠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그런지 못한 상사 밑에서 고생을 많이 해 보아서 진짜 그렇게 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팀장이 되기까지 상사 욕을 무지 했을 것이다. 무능력한 상사 밑에서 답답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은 업무 능력이 뛰어나고 유능했을 것이다. 부하직원으로 말이다 지시를 받는 입장에서 말이다.

 

그런데 이젠 지시를 해야 하는 입장이다. 결과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하는 자리다. 그리고 내 윗사람에게 성과로 대답해야 하는 자리다. 그렇다면 새로운 업무는 내 능력이 아니라 팀원들의 능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역할인데 이걸 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길이 없다. 왜냐하면 팀원들은 항상 불만이기 때문이다. 

 

 일이 많아서 불만히고 일을 끌어오는 팀장이 미울 수 밖에 없다. 못한다고 하거나 안한다고 못하나 하면서 말이다. 그리고 자꾸 자신의 능력을 키우기 보다는 환경을 개선해 달라고 요구한다. 자신의 능력 탓을 장비 탓을 하는 세대와 일한다. 나때는 이러지 않았는데 말이다. 내가 볼때는 무능한 직원인데 요듬 젊은 사람은 자기가 유능한 직원이라고 떠든다. 물어 보지 않아도 자기 자랑이다. 그리고 실수를 하면 미안해하거나 부끄러워해야 하는데 자기 잘못이 아니라고 우긴다. 자기 스타일로 일을 하는게 라니라 팀장 스타일로 일해서 일이 안된다고 주장한다. 자기 스타일대로 일하려면 남 밑에 있으면 안되는거라는 걸 모른다. 

 

 뻔뻔한 세대다. 이기적인 세대다. 무능력한 세대다. 그렇다고 여기에 대해서 토론을 벌인다면 아마도 팀장 입장만 난처해 질 것이다. 세대차이만 나는 이상한 사람 취급까지 서슴치 않을 만큼 예의라고는 없다.


아래는 일반적인 팀장과 팀원의 관계를 설명하겠다. 팀장이 격는 어려움과 팀장이 해야 할 일 그리고 팀원이 해야 할 일을 정리해 보겠다.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면 서로 더 잘 할수 있을 것이고 갈등도 줄어들 것이다. 


 팀장은 조직 내에서 중간 관리자의 위치에 있는 만큼, 위로는 상급자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아래로는 팀원들을 이끌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럼 아래에 팀장의 어려움과, 팀장과 팀원이 서로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겠다. 


🌿 팀장이 겪는 주요 어려움

  1. 위·아래의 눈치 보기
    상급자의 지시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팀원들의 사기와 입장도 고려해야 하므로 ‘가운데서 끼는’ 부담이 크다.
  2. 의사결정의 부담
    팀 운영, 일정, 업무 분담 등에 대해 결정권을 가지지만, 그 결정이 틀릴 경우 책임도 져야 하기에 심리적 압박이 크다.
  3. 갈등 조정과 중재
    팀원들 간의 갈등, 혹은 팀과 다른 부서 간의 문제를 중재해야 할 일이 많아 정신적으로 피로할 수 있다.
  4. 성과 압박
    팀 전체의 성과가 자신의 리더십 평가로 직결되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책임감과 스트레스가 동반된다.
  5. 소통과 공감의 어려움
    팀원들과 너무 가깝게 지내면 리더십이 약해질 수 있고, 너무 거리두면 소통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균형 잡기가 쉽지 않다.

💼 팀장이 해야 할 일

  1. 명확한 방향 제시
    팀의 목표와 비전을 명확히 제시하고, 팀원 각자의 역할을 분명히 나눠줘야 한다.
  2. 공정한 의사결정
    누구에게나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며, 편애 없이 업무를 배분해야  한다.
  3. 팀원 성장 지원
    팀원들이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고, 역량 개발의 기회를 마련해줘야  한다.
  4. 감정 조율과 갈등 해결
    감정이 상하기 쉬운 순간에도 중립적인 태도로 갈등을 잘 조율할 수 있어야  한다.
  5. 본보기 되는 행동
    말보다 행동으로 팀원들에게 신뢰와 존중을 받을 수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 팀원이 해야 할 일

  1. 자기 역할 충실히 수행
    맡은 바 업무에 책임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일해야  한다.
  2. 적극적인 소통과 보고
    문제가 생기기 전에 먼저 공유하고, 상사와 팀원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해야  한다.
  3. 리더에 대한 존중과 협력
    팀장의 의사결정을 존중하고, 결정에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 건설적인 피드백 제공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예의 바르게 의견을 내되, 개인적인 감정보다는 공동의 목적을 중심으로 말해야  한다.
  5. 팀워크 유지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협력하며 조직 전체의 분위기와 목표 달성에 기여해야  한다.

팀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만든 유기체이다. 팀장이든 팀원이든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이 있다면, 더 건강하고 성과 있는 팀이 될 수 있다.

반응형